원문
Optimizing Your Kontakt Workflow, Part 3
Kontakt 워크플로우 시리즈 제 3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번에는 Kontakt 내에서 CPU 및 RAM 사용량을 최적화하는 추가적인 방법과 RAM Purge(퍼지), batch resaving과 NCW 압축 기능 등에 대해 살펴볼 것입니다.
CPU 사용량 다시보기
이전 가이드에서 Kontakt에서 CPU를 많이 사용하는 요인으로 높은 동시발음수와 디스크 스트리밍 (DFD) 등을 꼽았습니다. 이미 디스크 스트리밍 설정 변경, 오디오 인터페이스 버퍼 크기, 멀티코어 설정 등을 통해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고 알려드렸지만, 이 외에도 CPU를 잡아먹는 요인이 있습니다.
기본 주의 사항 : Kontakt 악기를 편집할 때, 반드시 새로운 복사본으로 저장해서 언제든지 원본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하십시오.
그룹과 악기 내 이펙트 : Kontakt은 리버브, EQ에서부터 Transient Master와 Feedback Compressor 등과 같이 유용한 이펙트를 다양하게 제공합니다. 이들은 CPU 자원을 소비하며, 특히 "그룹" 별로 이펙트가 걸려 있을 경우 CPU를 급격하게 소모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한 패치에 이펙트를 적용할 경우 한개의 이펙트만 쓰이지만, 그룹 이펙트는 배로 늘어납니다. 200개의 그룹으로 이루어진 악기에서 각 그룹에 로우패스 필터를 걸 경우, 실제로는 200개의 로우패스 필터를 각 그룹에 적용하는 것과 같습니다.
악기에서 특정 악기를 사용하고 싶지 않다면, 렌치 아이콘을 클릭한 뒤 Group Editor에 들어가서, "Edit All Groups(모든 그룹 편집)"을 선택하고 아래로 스크롤합니다. 그룹 이펙트 설정과 ("Group Insert FX")와 악기 이펙트 설정 칸이 나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end 이펙트 또한 확인할 수 있습니다.

RAM 사용량 다시보기
CPU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메모리 사용량을 급격히 부풀리는 또다른 요인이 있습니다. 다행히 해결 방법은 비교적 쉬운 편입니다.
데이터베이스 크기 : 오해하지 마세요. 1부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도구는 샘플을 검색 가능한 간단한 카탈로그로 정리해주는 정말 훌륭한 기능입니다. 하지만, 데이터베이스에 악기를 추가할 때 마다 DAW에서 Kontakt이 차지하는 RAM 용량이 조금 늘어날 것입니다. 데이터베이스가 지나치게 클 경우 Kontakt 하나 당 100mb 이상의 메모리를 추가로 차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주 사용하지 않는 악기나 패치들이 많을 경우 데이터베이스를 정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악기 최대 발음수 : 활성 발음수(폴리포니)가 많아질수록 CPU 사용량이 많아집니다. 누구나 아는 사실이죠. 하지만 Kontakt에서 최대 발음수 설정을 높이면 연주하고 있지 않을 때도 RAM을 더 많이 차지한다는 사실을 알고 계십니까? 자세히 알아보려면, Kontakt 브라우저에서 Monitor 탭에 들어가서 Engine 탭을 선택합니다.

여기서 Kontakt의 메모리 사용 현황은 네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객체 메모리는 데이터베이스와 악기, 악기 내의 모듈(이펙트, 모듈레이션 등)에 할당되는 공간입니다.
샘플 메모리는 각 악기의 오디오 정보를 저장하는 공간입니다. 샘플이 많고, 길고, 높은 비트레이트/샘플레이트를 가질 수록 많은 공간을 차지합니다.
발음 메모리는 악기 내의 모듈레이터나 FX에 기반하며, 제일 중요한 것은 최대 동시발음수에 따라 사용량이 증폭된다는 것입니다.
DFD 발음 메모리는 악기를 연주할 때 디스크에서 오디오를 재생하면서 사용됩니다.
잠시만요, 그러면 악기 창에서 나타나는 메모리 사용량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확인한 바와 같이, 이곳에 표시된 메모리 사용량은 샘플 메모리 사용량만을 나타냅니다. 다른 항목은 고려하지 않습니다. 이는 실제 사용량과 차이가 있는데, 자사의 Celestia: Heavenly Sound Design과 같이 복잡한 최신 Kontakt 악기의 경우 확연한 차이가 나타납니다. Celestia 패치는 사진에서 보시다시피 113.87mb의 샘플 메모리를 차지하지만, 발음 메모리는 133.27mb의 샘플 메모리를 차지합니다.

이것은 단선율 베이스 악기이기 때문에, 최대 동시발음수를 4 등고 같이 매우 낮춰도 됩니다. 이렇게 하면 발음 메모리 사용량이 급격히 줄어듭니다. 133.27에서 4.16mb까지 감소합니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성립합니다. 최대 동시발음수를 128에서 512로 올릴 경우 메모리 사용량이 520mb로 뻥튀기 됩니다.
모든 악기가 최대 동시발음수 설정만으로 급격한 변화가 나타나진 않습니다. 그룹, 이펙트, 모듈레이션 등이 적은 간단한 패치는 애초에 작은 음성 메모리를 차지합니다. 그래도 얼마나 많은 동시발음수가 필요한지 판단한 후 최대 동시발음수를 낮추는 것이 현명한 선택입니다. 또한 패치 내부를 손봐서 필요 없는 이펙트(특히 그룹 이펙트)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다만 백업 하는 것을 잊지 마세요!
CPU 프로파일 모드
만약 어떤 악기 또는 악기 내의 어떤 요소가 CPU를 잡아먹는지 몰라 헤매고 있다면, Monitor -> Engine 탭에서 CPU Profiling Mode (CPU 프로파일링 모드)를 선택해 보십시오. 이 설정이 활성화되면, Kontakt에 로드된 각 악기가 차지하는 CPU 사용량이 악기 이름 옆에 나타납니다.

악기 내부를 살펴볼 경우 필터, 모듈, 이펙트 각각의 CPU 사용량을 세밀하게 살펴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의 이미지에서 이 악기는 낮은 동시발음수와 함께 "tm pro" 발음 모드(음길이 및 음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함)를 쓰고 있습니다. HQ 모드를 비활성화하고, 재생 모드를 "sampler"로 바꾸거나, HQI를 "perfect"에서 "standard"로 바꿈으로써 CPU 사용량이 급격히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 TM Pro 모드를 사용중인 Celestia 패치입니다.

HQI (high quality interpertation, 고음질 재생) 옵션은 sampler 또는 DFD 모드에서만 확인할 수 있으며, 설정을 낮음으로 바꿀 경우, 렌더링 시에 원래대로 돌려놓아야 할 수 있습니다.
RAM Purge(퍼지)
멀티샘플링된 무거운 오케스트라 악기와 같이 매우 큰 패치를 다룰 경우, 위의 모든 최적화 방법은 Kontkat의 Purge 기능을 쓰는 것만 못할 수도 있습니다. 샘플을 퍼지하는 것의 목적은 실제로 사용하는 샘플만 메모리에 로드함으로써 메모리 용량을 아끼는 데 있습니다. 간단한 개념입니다. 음표 딱 하나만 연주할 것인데 굳이 2옥타브를 아우르는 프렌치 호른 500mb를 전부 로딩할 필요기 있을까요?
이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가장 쉬운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악기를 불러온 후 하던 대로 필요한 MIDI 노트를 입력합니다. 다 했으면, Purge 메뉴에서 reset markers(입력 노트 초기화)를 선택합니다. 그다음 해당 파트를 처음부터 끝까지 재생합니다. 그다음 update sample pool(샘플 목록 갱신)을 누르면 사용하지 않는 샘플 (재생한 파트에서 사용되지 않는 음)은 간단하게 메모리에서 사라집니다. 참 쉽죠?
무작위의 바리에이션(라운드 로빈, zone 변경)이 많은 라이브러리의 경우에 적절한 다른 방법은 purge all sampes(모든 샘플 퍼지)을 누른 후 재생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재생될 샘플들만 즉각적으로 RAM에 로드됩니다. 물론 언제나 reload all samples(모든 샘플 로드)를 클릭하여 원래 상태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일괄 재저장
간혹 Kontakt에서 샘플이 누락되어 있다고 에러 메세지가 뜨는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이는 비교적 사소한 문제이며 "Browser for folder(폴더에서 찾아보기)"를 눌러 해당 패치가 존재하는 폴더를 선택해주면 간단하게 해결됩니다.

비록 작은 문제지만 해당 라이브러리에 수십 수백개의 패치를 가지고 있다면 정말 큰 시간낭비가 될 것입니다. 다행히 이를 해결할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Batch Resaver(일괄 재저장)" 기능입니다.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단계 : 재저장하고 싶은 악기를 모두 백업합니다.
2단계 : Files 메뉴에서 Batch Resave 버튼을 누릅니다.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YES"를 누릅니다. 이때 악기를 재저장하기 위해 해당 패치를 로드할 필요는 없습니다.
3단계 : "폴더 선택하기" 팝업에서 일괄 재저장을 하고 싶은 NKI/NKM 악기가 있는 폴더를 선택합니다.
4단계 : 폴더 내의 악기에서 누락된 샘플들이 표시되는 창이 나타날 것입니다. 이때 아래쪽에 "Allow alternative file types (대체 파일 형식 허용)"이 체크되어 있어야 합니다. (WAV 파일과 NCW 파일을 모두 검사합니다.) 그다음 "Browse for folder" 를 눌러 라이브러리에서 적절한 WAV/NCW 샘플이 저장된 폴더를 지정합니다.
5단계 : 이제 끝났습니다! 모든 패치가 해당 경로에 재저장됩니다. 그 폴더에서 패치를 다시 로드하면 모든 것이 해결될 것입니다.
"누락된 샘플" 오류를 고치는 것 외에도, 일괄 재저장 기능이 로드 시간을 단축시켜준다는 사용자 보고도 있습니다. 손해 볼 것도 없으니 가능하면 이 기능을 꼭 사용해 보십시오.
NCW 압축
2011년, Native Instruments에서 "NCW" 압축 포맷을 선보였습니다. NCW 파일은 WAV 또는 AIFF 파일을 무손실 압축한 파일로, 하드 드라이브 및 메모리 내에서 최대 50%의 공간 절약 효과를 보입니다. 사실상 어떤 단점도 없으며, Kontakt용 악기로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NCW 압축을 하기 위해 Files 메뉴의 Collect samples / Batch compress 기능을 살펴 보겠습니다.

아래의 순서를 따라하십시오. 물론 백업은 필수입니다.
1단계 : Files 메뉴에서 Collect Samples / Batch Compress를 클릭합니다. 패치를 로드할 필요는 없습니다.
2단계 : Source Folder(원본 폴더)에서 NCW 압축을 하고 싶은 악기가 위치한 폴더를 선택합니다. 해당 NKI/NKM 악기에서 사용하는 WAV 파일이 NCW 파일로 변환될 것입니다.
3단계 : Destination Folder(저장 폴더)에서 새로운 폴더를 만들어 "My Library (NCW)"와 같이 이름 붙이고 적절한 경로를 선택합니다. 처리가 완료되면 해당 폴더에 악기 파일과 NCW 파일이 모두 저장됩니다.
4단계 : "Collect Samples and create new destination folder(샘플 수집 및 새로운 구조로 저장)" 항목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원하는 경우 다른 설정도 가능하지만 "Lossless compressed NCW (무손실 압축 NCW 파일)" 항목이 체크되어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5단계 : "Convert" 버튼을 누르고 기다립니다. 변환하려는 샘플 크기에 따라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6단계 : 변환이 완료되면 새로 생성된 폴더를 열어보면 Collected Samples, Instruments 두개의 폴더로 구성되어 있을 것입니다. 이 파일들을 원하는 곳에 옮길 수 있지만, 상업용 Kontakt 라이브러리를 변환한 경우, 옮기면서 수많은 데이터 및 리소스 파일들이 누락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샘플과 악기를 다시 원래 위치에 놓고 일괄 재저장 기능을 통해 모든 샘플이 제대로 연결되어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NCW 압축은 Kontakt 악기에서 리소스 사용을 최소화하는 최고의 방법입니다. 이걸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단 두가지 뿐입니다. 하나는 드럼 루프나 시네마틱 임팩트 샘플과 같은 WAV 파일을 DAW 파일에서 직접 로딩해야 하는 경우입니다. 하지만 하드 드라이브 용량이 남는다면 NCW 파일과 WAV 파일을 모두 저장해서 WAV 파일은 DAW에서 사용하고, Kontakt에서는 NCW 파일을 쓰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다른 이유는 확실하진 않지만 사용자들의 경험에 따르면 NCW 파일이 Kontakt에서 로딩 시간이 더 걸린다고 합니다. 이 문제가 사실인지는 아직도 논란중이지만, 이와 같은 경험을 했다면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재밌게 읽으셨길 바라며, 지인들에게 이 정보를 나눠보세요. 더 알고 싶은 내용이 있다면 저희에게 피드백해 주세요.
'가상악기 및 플러그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년 Top 10 칩튠 VST 플러그인 (0) | 2018.04.03 |
---|---|
Gross Beat - FL의 비밀병기 (1) | 2018.03.29 |
콘탁 작업 환경 최적화하기 (2) (1) | 2018.03.19 |
콘탁 작업 환경 최적화하기 (1) (2) | 2018.03.15 |
Dada Life의 Sausage Fattener 톺아보기 (1) | 2018.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