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알아볼 것은 매트릭스 탭입니다.
매트릭스는 엔벨로프, LFO 등의 모듈레이션 소스가 어떠한 파라미터를 제어하고 있는지 나타낸 표 입니다. 사실 이전 강좌에서 보았듯이 엔벨로프, LFO 등을 노브에 연결하면 해당 노브 주위에 연결되었다는 표시가 되기 때문에 굳이 이렇게까지 표로 만들어 놓을 필요가 있나 생각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식은 직관적인 대신에 나중에 전체적인 연결 관계를 알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Serum 기본 프리셋만 보아도 그림만으로는 연결 관계를 파악하기 힘들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같은 이유로, 다른 인기 신디사이저인 Massive도 연결은 쉽지만 소리가 어떻게 가공되고 있는지 살펴보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세럼은 모듈레이션 관계를 차근차근 알 수 있도록 매트릭스 기능을 제공합니다. 매트릭스를 살펴보면 한눈에는 잘 들어오지 않지만, 천천히 살펴보면 무엇(소스)이 어떤것(데스티네이션)을 얼마나(변화량) 변화시키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세밀한 설정을 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제 이 매트릭스 탭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SOURCE : 모듈레이션 소스를 나타냅니다.
AMOUNT : 변화량을 나타냅니다. 위의 GIF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실시간으로 값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보여줍니다.
DESTINATION : 모듈레이션 데스티네이션을 나타냅니다.
무엇(소스)이 어떤것(데스티네이션)을 얼마나(변화량) 변화시키는가를 생각하면서 보면 이해가 쉬울 것입니다.
TYPE : 변화의 방향성 (단방향 vs 양방향)을 정합니다. 이전에 Shift + Alt 를 누른 채로 노브를 클릭하면 방향성이 전환된다고 했는데, 이곳에서도 바꿀 수 있습니다. 화살표를 클릭하면 양방향/단방향으로 전환됩니다.
여기서부터는 매트릭스 탭에서만 조절할 수 있는 것들입니다.
CURVE : 피아노 VST에서 보이는 벨로시티 민감도랑 비슷한 기능입니다. 여기서는 변화량의 민감도라고 보는 것이 적절하겠네요. 위로 드래그하면 전체적으로 변화량이 가파르게 커지고, 아래로 드래그하면 변화량이 가파르게 줄어듭니다. 가로축을 원래 신호 크기, 세로축을 받아들이는 신호 크기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AUX SOURCE : 무엇(소스)이 어떤것(데스티네이션)을 얼마나(변화량) 변화시키는가? 에서 '얼마나'가 상황에 따라 변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AUX SOURCE는 변화량(AMOUNT)를 결정하는 소스입니다.
MOD : AUX SOURCE 와의 관계를 결정합니다. AUX SOURCE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 : AUX SOURCE의 신호와 비례해서 변화량이 결정됩니다.
- * (inv) : AUX SOURCE의 신호와 반비례해서 변화량이 결정됩니다.
- Bypass : 해당 모듈레이션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바이패스)
OUTPUT : 최종적인 변화량의 크기를 결정합니다. 100이 기본값이며, 모듈레이션 효과를 조금 줄일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아래의 모듈레이션 관계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우선 Env 2(2번 엔벨로프)가 Fil Cutoff (필터의 컷오프)를 +방향으로 변화시킵니다. 그런데 AUX SOURCE로 Mod Wheel (모듈레이션 휠)이 설정되어 있고, * (inv) 모드로 되어 있습니다. 이는 모드 휠을 올리면 해당 모듈레이션의 변화량이 감소하며, 모드 휠을 내리면 모듈레이션의 변화량이 증가한다는 것입니다.
해당 엔벨로프 형태 (좌)와 모듈레이션 휠을 올릴 때 컷오프가 변화하는 모습 (우). 로우패스 필터인 점을 고려해보면, 모듈레이션 휠을 올릴수록 소리가 먹먹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편, 매트릭스 탭에서는 기본 화면에서는 볼 수 없는 모듈레이션 소스와 데스티네이션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모듈레이션 소스의 경우 모드휠, 엔벨로프, LFO 등 기본적인 소스 외에도, 애프터터치, 카오스(랜덤), 심지어 노이즈 오실레이터까지 소스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데스티네이션에서는 Global 카테고리에 있는 Mast Tun (마스터 튠)이 중요합니다. 마스터 튠은 모든 소리의 음높이를 말하며, 비브라토 효과를 주는(LFO를 마스터 튠에 연결) 등 전체 음높이를 바꾸고 싶을때 사용하는 파라미터입니다.
이렇게 해서 매트릭스 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음에는 글로벌 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상악기 및 플러그인 > Xfer Records Serum'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rum 기초 강좌] 07.글로벌 탭과 보이싱 섹션 (7) | 2018.05.30 |
---|---|
[Serum 기초 강좌] 05.FX (0) | 2018.04.16 |
[Serum 기초 강좌] 04.엔벨로프, LFO (6) | 2018.04.13 |
[Serum 기초 강좌] 03.필터 (5) | 2018.04.12 |
[Serum 기초 강좌] 02.서브 및 노이즈 오실레이터 (4) | 2018.04.11 |